주식의 기본적인 분석 방법
- Money/부동산과 투자
- 2011. 11. 14. 08:00
주식의 기본적인 분석 방법
주식에 관심이 있으신분 많으시죠? ^^;;
하지만 주식이라는게.. 투자를 시작하기 참 껄끄러운 것도 사실입니다.
누군가는 주식으로 큰 수익을 냈다고 하지만..
누군가는 주식으로 큰 손해를 보았다고 하는 것이 사실이니까요..^^;;
그래서 이번 포스팅은 간단하게 주식을 분석하는 아주 기본적인 방법에 대해서 이야기를 해 보겠습니다.^^;;
◎ 주식의 기본적인 분석이 뭘까? |
주식의 기본적인 분석이라는 것은 개별 주식이 본질적으로 가지고 있는 가치인 ‘내재가치(intrincic value)’를 추정하고, 이 내재가치와 시장 가격을 비교해 투자 전략을 선택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쉽게 말해서 주식의 가치를 평가해서 지금의 가격이 적당한지를 분석한다는 거죠..^^;;
이 분석은 주식의 시장 가격이 장기적으로 보았을 때 내재 가치에 접근할 것이라는 전제 하에서 성립하게 됩니다.
뭐 당연할지 모르겠지만.. 1000원 정도 가치가 있는 물건이 시장에서 500원에 매매 되고 있으면, 언젠가는 1000원으로 오를 것으로 예상하고 산다는 거죠..^^;;
그리고 주식의 기본적인 분석은 이게 정말 1000원의 가치가 있는지, 시장에서는 얼마에 팔리고 있는지를 파악하는 겁니다.
◎ 주식 분석에 따른 매매 전략 |
주식의 기본적인 분석이 끝난 후 나온 가치 금액을 보고는 매매 전략을 설정할 수 있습니다.
만약 시장 가격이 내재 가치보다 낮으면 당연히 매입을 해야겠죠.
반대로 시장 가격이 내재 가치보다 높으면 당연히 매도를 해야 하구요.
시장 가격과 내재 가치가 같으면 적정 평가가 되었기 때문에 거래를 하지 않습니다..^^;;
◎ 주식의 평가 |
주식을 평가하는 방법은 여러가지가 있는데요, 그 중에서 정률 성장 배당 모형과 주가 수익 비율은 기본적인 분석에서 많이 쓰이는 방법입니다.
정률 성장 모형이란건 기대 수익률이 클수록 주가는 하락하고, 배당 성장률이 클수록 주가는 상승한다는 이론의 모형입니다.
쉽게 말 해서 기업이 배당을 많이 하면 주식 투자자는 배당 수익을 많이 얻을 수 있으므로 그 기업의 주가는 상승한다는 소리입니다.
주가 수익 비율은 기업이 벌어들이고 있는 한 단위의 이익에 대해서 증권 시장의 투자자들이 얼마의 대가를 지불하고 있는지를 의미하는 지표입니다.
기업은 단위당 이익을 많이 가지고 가는데 막상 주주들에게는 돌려주지 않는다면, 실제로 투자를 하지 않게 된다는 의미로 생각하시면 쉽습니다.
◎ 주식의 기본적인 분석에 따른 주식 접근 방법 |
주식의 기본적인 분석에 따라 투자할 주식을 분석하는데는 하향식 분석 접근 방법과 상향식 분석 접근 방법이 있습니다.
하향식 분석 접근 방법은 우선적으로 경제를 분석하고, 그 아래 산업 동향을 분석하고, 그리고 기업을 분석하는 방법으로 범위를 점차 좁게 가지고 가는 방법입니다.
상향식 분석 접근 방법은 우선 기업을 분석하고, 기업이 속한 산업을 분석한 후, 전체적인 경제를 분석하는 방법입니다.
◎ 기본적 분석의 대상 |
경제 분석을 할 때에는 경기 변동, GDP성장률, 금리, 물가, 환율 등 거시적인 환경을 주로 분석의 대상으로 합니다.
전반적인 동향을 살펴 본다는 소리죠..^^;;
산업을 분석할 때에는 기업이 속한 산업의 성장 주기, 진입 장벽, 가격 동향, 원재료 수급 동향 등을 분석의 대상으로 합니다.
사양 산업인지 앞으로의 산업 전망이 어떤지를 파악해 본다는 소리입니다.
기업을 분석할 때에는 기업의 재무 상태, 경영 성과, 기술 경쟁력, 시장 점유율, 브랜드 인지도등의 계량적 혹은 비계량적 요소들에 대해 분석을 합니다.
개별 기업이 매리트가 있어야 주식 투자를 할 테니까요..^^;;
◎ 주식 투자와 개인의 포트 폴리오 |
포트폴리오를 구성하는 이유는 손실의 위험을 줄이고 이득을 최대한으로 올리기 위해서입니다.
이런 포트폴리오 구성은 작게는 투자의 포트폴리오를 구성하는 것과 크게는 개인의 전반적인 포트폴리오를 작성하는 것으로 나누어 집니다.
다시 말해서 개인의 전반적인 포트폴리오 속에 투자의 비중을 결정하고, 결정된 투자 비중 속에서 다시 투자 포트폴리오를 작성해 위험을 최소화 하고 수익은 최대화 하는 것이 포트폴리오를 구성하는 중점인 것이죠..^^;;
이런 것들은 개개인이 모두 처리기엔 어려움이 많기 때문에 전문가의 조언을 받아들일 필요가 있습니다.
그리고 이런 것들의 전문가가 바로 재무설계사들입니다.
추천!! 무료 재무설계 상담 [링크] – 리더스리치 재무설계 센터 무료 재무설계 이벤트를 통해서 재테크 방법이나 목돈 마련 노하우, 개인에게 꼭 맞는 포트폴리오 작성 등의 서비스를 꼭 받아보시기 바랍니다. |
'Money > 부동산과 투자' 카테고리의 다른 글
주가지수 선물? 그건 또 뭐야? (0) | 2011.11.25 |
---|---|
주가 지수의 종류 (0) | 2011.11.24 |
재무 관리 포트폴리오의 의미와 유용성 (0) | 2011.11.15 |
위험 허용 수준에 따른 포트폴리오 모델 예시 (0) | 2011.11.12 |
전략적 자산 배분과 전술적 자산배분 (0) | 2011.11.11 |
els가 모지? els의 실체를 파악해 보자!! (0) | 2011.11.09 |
이자율의 개념과 이자율의 변동 요인 (0) | 2011.11.06 |
이 글을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