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ls가 모지? els의 실체를 파악해 보자!!
- Money/부동산과 투자
- 2011. 11. 9. 12:46
els가 모지? els의 실체를 파악해 보자!!
금융사에 가면 어려운 단어 많으시죠? ^^;;
ELS다 ETF다… 뭔 그리 약자들이 많은지..^^;;
그래서 오늘은 ELS에 대해서 간단하게나마 이야기를 해 볼까 합니다..^^;;
요즘 원금 보장형 ELS펀드가 많은 인기를 얻고 있는데.. 실상 그게 무엇인지, 어떻게 활용하면 되는지
잘 모르시는 분들이 많으시더라구요..^^;;
이번 포스팅 읽어보시고, ELS를 이해하시는데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었으면 합니다..^^;;
▷ ELS가 뭐지? |
○ ELS가 무엇일까?
△ 위 사진은 네이버 백과사전에 소개된 ELS (Equity – Linked Securities)에 관한 내용입니다.
어떻게.. 쉽게 이해 하시겠어요? ^^;;
뭐.. 저만 그랬는지 모르겠지만.. 무슨 말인지 처음엔 못 알아 들었습니다..^^;;
물론 지금이야 재무설계사 자격증도 있고, 실무도 담당하고 있으니… 이런 말은 쉽게 알아 듣지만..
모든 사람이 그런 공부를 하는 것은 아니니까요..^^;;
일단 단순 정의로 말씀 드리자면 주가지수연동 증권이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els의 구조는 단순합니다.
만약 100을 els에 투자를 한다면 90~95가량은 채권에 투자를 합니다.
채권에 투자를 하면 이자가 나오겠죠?
일정 기간동안 투자를 하게 되면 채권에서 나오는 이자를 통해 원금을 보존합니다.
그리고 나머지 5~10을 주가지수 옵션 같은 파생상품에 투자를 합니다.
옵션이라는 것은 일종의 권리로 위험률이 높으며 반대 급부로 고수익을 노릴 수도 있습니다.
특히나 콜 옵션(살 권리)과 풋 옵션(팔 권리)를 잘 배합하면 손실을 제한하고 이익은 무한대로
늘릴 수 있는 포트폴리오 구성이 가능해집니다..^^;;
(옵션에 관한 포스팅은 추후 다시 하겠습니다..^^;;)
이렇게 투자금의 대부분을 원금 보존에 초점을 맞추어 놓고, 일부 금액을 고수익이 가능한
파생 상품에 투자해 손실 위험은 줄이고 수익은 극대화 시키는 상품이 ELS 입니다..^^;;
○ ELS 펀드는 무엇일까?
ELS 펀드를 이해하려면 우선 펀드의 개념부터 이해하셔야 하는데요,
펀드라는 것은 일종의 공동 기금 투자라고 보시면 됩니다.
같은 목적을 가진 사람끼리 기금을 조성해 함께 투자를 하고, 수익이나 손실은 투자한 금액에 대비해
분배하는 일종의 공동 투자란 소리입니다.
ELS 펀드에는 다음과 같은 종류와 특징이 있습니다.
△ 요거 직접 정리 한거니까..그냥 막 가지고 가지는 말아주세요..;;;
이해가 쉽게 가시는지는 모르겠네요.. 쉽게 정리한다고 정리한건데;;;
이렇게 여러가지 유형의 ELS 펀드 중에서 자신에게 가장 적합한 유형을 찾아 투자를 하기 위해서는
전문적인 재무설계사의 상담을 받아 보시는 것이 가장 좋습니다..^^;;
▷ELS 투자시 고려해야 할 것들 |
원금 보장형 ELS에 투자를 하기로 생각을 하셨다면 몇 가지를 고려해 상품을 결정하는 것이 좋습니다.^^;
○ 투자 기간
당연한 요인이겠지만, 투자 기간을 반드시 고려하셔야 합니다.
저축과 투자에 대한 포트폴리오를 구성할 때에는 보통 장기 중기 단기로 기간을 나누게 됩니다.
ELS 펀드의 경우 보통 1~3년의 만기를 가지고 있는 단기 투자 상품입니다.
참고적으로 단기란 3년 이내, 중기는 5~7년 이내, 장기는 7년 이상을 투자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 기초 자산
보통 ELS 펀드의 경우 대부분 기초 자산으로 개별 종목이 아닌 주가지수를 추종하고 있습니다.
코스피200과 중국 항생 지수인 HSCE를 주로 추종하게 되지요.
개별 종목과는 달리 주가 지수는 급락이나 급등이 그리 많지 않습니다. 변동성이 낮다는 겁니다.
변동성이 낮다는 소리는 위험이 적다는 소리와 일맥 상통 합니다.
단순 계산으로, 100을 투자해 90을 채권에, 10을 코스피200을 추종하는 파생 상품에 투자하는 ELS라고
했을 때, 만기시 코스피 200이 10%가 상승했다면, 실질적으로 받을 수 있는 수익은
채권으로 원금을 보전하고 파생상품으로 수익을 냈으므로 111이 됩니다.
보통 70~90%가량을 채권에 투자하게되니 파생상품의 투자 비율에 따라 수익을 높일 수 있는 구조의
ELS에 투자할 수 있다는 소리입니다.^^;;
○ 조기 상환 여부
1년 단위의 상품일 경우 조기 상환은 없습니다. 하지만 그 이상의 상품일 경우 조기 상환 가능성을
항상 염두에 두셔야 합니다.
실질적으로 ELS의 경우 조기 상환이 불가능한 상품도 존재하므로 자칫 여유 자금이 아닌 자금으로
투자를 진행하는 경우 낭패를 보는 경우도 존재합니다.
○ 원금 보장 여부
원금 보장 여부는 기대 수익률을 결정하는데 중요한 요인입니다.
위험을 감수한다 하더라도 수익을 높이고자 하신다면 원금의 90%, 80%보장 상품들도 존재하므로
자신의 투자 성향을 잘 파악하시는 것이 좋습니다.
하지만 은행이나 증권사의 창구에서 판매하는 펀드 상품의 경우 개인의 상황과는 무관하게 판매 수수료를 위한 판매일 가능성이 높습니다. 무료 재무 설계 상담 [링크] – 자신에게 맞는 투자 방법과 포트폴리오 무료 제공
|
'Money > 부동산과 투자' 카테고리의 다른 글
주식의 기본적인 분석 방법 (0) | 2011.11.14 |
---|---|
위험 허용 수준에 따른 포트폴리오 모델 예시 (0) | 2011.11.12 |
전략적 자산 배분과 전술적 자산배분 (0) | 2011.11.11 |
이자율의 개념과 이자율의 변동 요인 (0) | 2011.11.06 |
부동산 펀드의 특징과 부동산 펀드 선택 요령 (0) | 2011.11.03 |
한국 부도 위험에 대하여. (0) | 2011.09.27 |
투자의 시간 가치 (0) | 2011.09.21 |
이 글을 공유하기